내일신문 경북

스마트팜 혁신밸리 빅데이터 개발 운영 실태 개선 필요

내일신문 전팀장 2018. 11. 6. 07:43

지난 10년째 자동제어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스마트팜과 빅데이터 개발·운영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선 스마트팜과 빅데이터가 무엇보다 농민이 쓰고 싶고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현장 수요부터 되살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농민들의 영농활동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지 못한채 어슬픈 소프트웨어개발은 농민들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는데도, 전문분야를 따지지 않고 대기업이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안이한 인식 스마트팜으로 하려금 농민들과 더욱 동떨어지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코스닥 금융IT벤처기업 대표 출신으로 충남 홍성군에서 돼지 7,600마리를 키우는 성우농장 이도헌 대표는 “농민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 함에도 농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없는 일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관이 원하는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획일화까지 강요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또 “이러다 보니 스마트팜은 농민들이 쓰기에 불편하고 자신의 영농정보까지 내주면서 얻을 수 있는 혜택마저도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스마트팜과 빅데이터가 서로 조화를 이뤄 동반승승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누군가가 기획한 정형데이터가 아니라 다수의 농민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이용자들에게 즐겨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끊임없이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낼 때 스마트팜 운영과 빅데이터 분석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스마트팜 혁신밸리 성공을 위해서는 빅데이터는 얻은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기 위해 발전해 나가는 것인데,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수익모델을 개발할만한 동력이 떨어지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성격과 맞지 않은 게 사실이다. 정부 주도의 빅데이터 사업의 한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 스마트팜 혁신밸리 빅데이터의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농민이 처한 영농현실과 농민이 쓰고 싶은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농민의 이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전문가들이 늘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김현권 의원은 “농정의 스승은 농민이라는 말이 있듯이 농민들이 영농활동에 필요한 것과 스마트팜으로 통해 나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정확하게 파악한 상태에서 시스템을 설계하고 소프트웨어를 짜야 비로소 농민들이 진정으로 찾게 될 것”이라며 “예산 키우는 데에만 몰두하기 보다 농민과 전문가들이 서로 소통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